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이창윤 제1차관이 질 흐루비 미국 에너지부 핵 안보 차관 겸 국립핵안보청(NNSA) 청장과 '핵확산 저항성 최적화(PRO-X) 사업 협력 공동성명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해당 사업 협력을 위한 공동성명서를 체결하는 이 차관과 질 흐루비 청장. /사진=뉴스1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이창윤 제1차관이 질 흐루비 미국 에너지부 핵 안보 차관 겸 국립핵안보청(NNSA) 청장과 '핵확산 저항성 최적화(PRO-X) 사업 협력 공동성명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해당 사업 협력을 위한 공동성명서를 체결하는 이 차관과 질 흐루비 청장. /사진=뉴스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창윤 제1차관이 질 흐루비 미국 에너지부 핵 안보 차관 겸 국립핵안보청(NNSA) 청장과 '핵확산 저항성 최적화(PRO-X) 사업 협력 공동성명서'를 체결했다. 핵확산 저항성은 연구·발전용 핵물질의 전용을 어렵게 만드는 기술적 개념이다.

22일 뉴스1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이번 사업 협력으로 한국 수출형 연구로 파일럿 모델 설계가 핵확산 저항성 관점에서 최적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날 공동성명서 체결식에서는 한·미·일 연구기관들의 공동연구 준비 현황도 점검됐다. 한·미·일 연구기관 간 협력은 지난해 8월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담 합의사항으로 미 에너지부(국립핵안보청) 소속 3개 국립연구소와 과기정통부 산하 출연연, 일본 연구기관 간 공동연구 및 인력교류를 추진하는 내용이다.

한·미·일 협력의 구체적 내용을 담은 각서는 곧 체결될 전망이다.

이창윤 제1차관은 "과기정통부는 미국 과학기술 기관과의 협력 채널을 확장하고 협력사업을 발굴하는 중"이라며 "미국 핵심 국립연구소와 원자력의 안전한 연구를 관할하는 국립핵안보청과 두 건의 협력사업을 착수하는 것은 과학기술 협력의 외연 확장과 질적 향상의 성과라는 큰 의미를 가진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