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에 급성 부비동염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감기와 증상이 유사해 진단이 늦어지고 있어 관련 증상을 살펴보고 비부동염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사진=이미지투데이
봄철에 급성 부비동염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감기와 증상이 유사해 진단이 늦어지고 있어 관련 증상을 살펴보고 비부동염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사진=이미지투데이

최근 부비동염 환자가 급증하는 시기지만 감기와 증상이 유사해 진단이 늦어지고 있다. 환절기에는 일교차가 커지면서 기온의 변화에 빨리 적응하지 못해 몸의 면역력이 떨어지기 쉽다. 특히 봄철에는 각종 알레르기 유발물질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늘어나는데 누런 콧물과 코막힘이 오랜 시간 지속된다면 부비동염(축농증)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

15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봄철에 급성 부비동염 환자가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3월 30만8222명에서 4월 37만9027명으로 급증했고 2022년에도 3월 26만9890명에서 4월 33만4441명으로 환자수가 증가했다.


부비동은 얼굴 뼈 안에 있는 빈 공간으로 작은 구멍을 통해 연결된 콧구멍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고 분비물도 내보낸다. 부비동이 특정 원인에 의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화농성 분비물(고름)이 고이면서 내부 점막에 염증이 발생하는데 이를 부비동염이라고 한다.

부비동염은 주로 소아와 아동에게서 발병한다. 부비동이 아직 완전히 발달하지 않았고 부비동의 배출구가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어 코와 부비동이 마치 하나의 공간처럼 연결되어 있어 감기에 의한 염증이 쉽게 부비동으로 퍼지게 되기 때문이다.

2022년 기준 급성·만성 부비동염 전체 환자수는 393만6499명으로 이 중 9세 이하 소아∙아동이 121만5861명을 차지했다. 이는 전체 환자수의 약 31% 해당하는 높은 점유율이다.


부비동염은 감기와 증상이 비슷해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부비동염을 발견하지 못해 적절한 치료를 하지 못할 경우 다양한 합병과 만성 부비동염을 야기할 수 있어 조기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부비동염의 경우 단순 문진·비내시경 검사·철조법(투시법)·조직 검사·CT 촬영 등의 방법이 있다. 철조법은 부비동에 빛을 강하게 비춰서 투과되는 광패턴을 육안으로 판별하는 방법이다.

부비동염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감기나 독감에 걸리지 않는 게 중요하다. 외출 후에는 손발을 잘 씻어 방역에 주의하고 생리 식염수를 이용해 코 내부를 씻으면 도움이 된다.

실내 공기가 건조하지 않도록 30~40%의 습도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미지근한 물을 하루 2~3잔 이상 마셔주는 것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