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에 설치된 시중은행 ATM 기기 앞을 한 시민이 지나고 있다./사진=뉴스1
서울 시내에 설치된 시중은행 ATM 기기 앞을 한 시민이 지나고 있다./사진=뉴스1

지난해 은행권이 사상 최대 이익을 거둔 가운데 사회공헌활동으로 총 1조6349억원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은행연합회가 발간한 '2023 은행 사회공헌활동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은행권의 사회공헌활동 총 금액은 1조6349억원으로 전년 대비 3969억원(32.1%) 증가했다.


최근 3년간 사회공헌활동 누적 금액은 3조9346억원이다.

해당 보고서는 은행권의 사회공헌활동 내용과 성과를 공개하기 위해 은행연합회가 2006년부터 매년 발간하고 있다. 2006년 첫 실적 집계 당시 3514억원이던 사회공헌 규모는 2019년 이후 연간 1조원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분야별 실적을 보면 ▲지역사회·공익 1조121억원(61.9%) ▲서민금융 4601억원(28.1%)이 전체 금액에서 90%를 차지했다. 두 분야 합산 비중이 90%를 차지한 건 집계 이후 처음이다.


지난해 고금리·고물가·고환율 등 3고(高) 여파로 은행권이 소상공인·자영업자와 금융취약계층에 지원을 강화한 결과다. 이어 ▲학술·교육 765억원(4.7%) ▲메세나 635억원(3.9%) ▲글로벌 115억원(0.7%) ▲환경 112억원(0.7%)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는 기관별 내용을 보강했다. 사회공헌 실적 집계에 반영되지 않는 '상생금융 및 추가활동'과 같은 정성적 활동과 공익 상품, 대체점포 운영현황 등 정보도 담았다.

또 '스페셜 페이지'(Special Page)를 마련해 지난해 12월 발표된 2조1000억원 규모의 민생금융지원방안과 지난해부터 4년간 총 5800억원을 출연해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로 뜻을 모은 은행권 사회적 책임 프로젝트를 별도로 소개했다.

보고서는 은행연합회 홈페이지 '회원사 정보-사회공헌활동'에서 확인할 수 있다.

조용병 은행연합회 회장은 "이번 보고서 발간을 계기로 은행권의 다양한 공헌 활동이 우리 사회 곳곳에 널리 알려지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은행권은 경제 생태계의 선순환에 기여하는 포용적 금융 실천에 앞장서고자 적극적으로 행동하고 함께 동행할 것"이라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