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관 블루런벤처캐피탈매니지먼트(BRV) 대표. / 사진=뉴스1
윤관 블루런벤처캐피탈매니지먼트(BRV) 대표. / 사진=뉴스1

LG가(家) 사위인 윤관 블루런벤처스(BRV) 대표가 배터리용 분리막 생산기업 SK아이이테크롤로지(SKIET) 지분 매입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SK그룹이 대대적인 사업 리밸런싱을 추진하면서 윤 대표가 SKIET 지분을 확보한 뒤 LG에너지솔루션과 사업 연계에 나설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윤 대표가 LG그룹 세 모녀의 상속 소송을 부추긴 배후로 지목되고 있어 현실성이 없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1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SK그룹이 전사 차원의 사업모델 재편을 추진하면서 실적이 부진한 SKIET가 영향을 받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SK온으로 자금난을 겪는 SK이노베이션이 자회사 SKIET를 매각한다는 것인데 일각에선 윤 대표가 지분 매수에 나설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윤 대표의 지분 매수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현재 윤 대표가 과세 당국과 행정 소송을 벌이고 있어 국내 투자에 섣불리 나설 수 있는 처지가 아니어서다.

서울지방국세청은 윤 대표에 대한 세무조사를 진행한 뒤 배당 소득을 근거로 종합소득세 123억7758만원을 추징했다. 윤 대표는 자신이 미국 시민권자이자 국내 비거주자로 소득세 대상이 아니라며 조세심판원에 불복 심판을 청구했으나 기각당했다. 이에 반발한 윤 대표는 과세당국을 대상으로 세금 불복 소송을 제기했고 현재 1심 진행 중이다.

윤 대표가 SKIET를 인수한 뒤 LG에너지솔루션과의 거래를 확대할 것이란 분석도 힘을 얻지 못하고 있다. LG 오너일가는 현재 재산 상속 소송을 벌이고 있다. 이 소송은 서류상 원고는 세 모녀 3명으로 알려졌지만, 구연경 대표의 남편인 윤 대표가 실질적으로 배후에서 이들에게 소송을 부추긴 것 아니냐는 의심을 사고 있다.


특히 구 대표와 윤 대표가 서로 다른 소송에서 같은 변호사를 선임하면서 윤 대표의 배후설이 힘을 얻고 있다. 윤 대표는 최근 2억원의 빌린 돈을 갚지 않아 대여금 반환 소송에 휘말렸는데 이 소송의 변호인으로도 세 모녀 소송 변호를 맡은 이정민 변호사를 선임했다.

재계 관계자는 "윤 대표가 소송 중인 것을 고려했을 때 국내 투자를 확대하는 것은 어려워 보인다"며 "LG그룹과 윤 대표의 관계를 고려했을 때도 윤 대표가 SKIET 지분 확보로 LG와의 거래를 확대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밝혔다.

SK그룹이 위기 상황에서도 배터리 사업을 강화하겠다고 밝히면서 SKIET가 매물로 나오지 않을 것이란 이야기도 나온다. SKIET 매출의 대부분이 SK그룹 국내외 계열사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일정 기간 매출을 보장하지 않는 한 인수에 나서는 곳이 없을 것이란 분석이다. SKIET의 몸값이 높다는 것도 부담 요인이다. 지난 14일 기준 SKIET의 시가총액은 3조1870억원에 달한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SKIET 지분 일부 매각 등 배터리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과 관련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나,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