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가 미국 IT 기업에 위장 취업한 북한 노동자들을 추적 중이다. 사진은 사진은 미국 국무부가 공개한 수배 명단. /사진=정의를 위한 보상 엑스(X·옛 트위터) 캡처
미국 국무부가 미국 IT 기업에 위장 취업한 북한 노동자들을 추적 중이다. 사진은 사진은 미국 국무부가 공개한 수배 명단. /사진=정의를 위한 보상 엑스(X·옛 트위터) 캡처

북한 국적 노동자 3명이 미국 IT 기업에 위장 취업한 사실이 드러났다. 원격 근무 과정에서 취약점이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

미국 국무부는 지난 16일(이하 현지시각) 테러 정보 신고 포상 프로그램인 '정의에 대한 보상'을 통해 미국 IT 기업에 위장 취업한 혐의를 받는 북한 노동자들을 추적 중이라고 밝혔다. 추적 대상자는 한지호, 진천지, 쉬하오란이라는 가명을 사용했다. 중화라는 이름을 사용한 관리자도 포함됐다. 이들에 대한 현상금은 500만달러(약 67억원)로 책정됐다.


북한 노동자 3명은 지난 2020년 10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약 3년 동안 60여명의 미국인 신분을 사용해 한 미국 회사 소프트웨어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로 근무하며 약 680만달러(약 92억원)의 수익을 벌어들였다. 이들은 모두 원격으로 근무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국무부는 이들이 북한의 탄도미사일 개발, 무기 생산, 연구개발 프로그램을 총괄하는 북한 군수공업부와 관련된 것으로 파악했다. 이들은 미국 정부 기관 두 곳에도 취업하려고 시도했으나 실패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과정에서 미국 국적 크리스티나 마리 채프먼의 도움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채프먼은 이들이 미국에서 유효한 신원을 취득할 수 있게 도왔으며 미국 기업으로부터 노트북을 받아 매일 기업 네트워크에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했다. 그는 북한 노동자들에게 지급된 급여를 받아 분배하는 등 범죄 수익금을 세탁하는 일도 한 것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 국적자 1명과 베트남 국적자 1명도 이들을 도운 혐의를 받는다. 이들 3명은 모두 체포된 상태다.


마샬 밀러 미국 법무부 부장관은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IT 기술자 부족과 최근 성행하는 원격 재택근무 등 새로운 노동환경의 종합적인 요인들을 악용해 이런 범죄를 벌이고 있는 것이 최근의 실태"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미 법무부는 이번에 체포한 북한 IT 범죄 가담 개인들을 기소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다른 국가의 정부나 민간 기업들에 대해서도 IT 관련 직원들을 채용할 때는 극도로 주의하도록 경고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