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공공기관인 전략물자관리원이 오는 8월21일부터 무역안보관리원으로 명칭이 바뀐다. /사진=뉴시스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공공기관인 전략물자관리원이 오는 8월21일부터 무역안보관리원으로 명칭이 바뀐다. /사진=뉴시스

전략물자관리원이 오는 8월부터 '무역안보관리원'으로 명칭이 변경된다. 정책 수립 등의 기능이 추가되는 만큼 무역안보 전문기관 역할을 맡을 전망이다.

14일 정부 등에 따르면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최근 전략물자관리원을 방문해 경제안보 시대 무역안보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새로운 역할을 주문했다.


전략물자관리원은 전략물자 수출입관리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2007년 6월 출범한 산업부 산하 공공기관이다. 전략물자 해당 여부 판정, 무역기업 대상 교육 및 홍보, 전략물자관리시스템 운영 등을 담당하고 있는 국내 유일 수출통제 전담기관이다.

해당 기관은 대외무역법 개정에 따라 오는 8월21일부터 '무역안보관리원'으로 명칭이 바뀐다. 무역안보 정책 수립을 비롯해 산업영향 분석 및 수출통제 이행 지원 등의 기능이 추가된다.

전략물자관리원은 기능 강화 작업반을 구성해 기술·투자 등 안보 심사 기능 강화, 독자·소다자 통제 관련 산업계 영향 분석, 미국 역외통제·금융제재 등 무역안보 컨설팅 확대 등 기능 강화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무역안보관리원 출범과 함께 관련 업무를 수행할 계획이다.


정 본부장은 "전략물자관리원은 출범 당시와 비교했을 때 전략물자 판정은 17배, 전략물자관리시스템 회원은 10배 증가하는 등 한국의 전략물자 관리체계를 정착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며 "경제 안보를 핵심으로 하는 새로운 국제 무역 질서가 형성되는 상황에서 자본·기술·인력 등 국가 간 교역 전반의 안보를 담당하는 조직으로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