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뉴스1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뉴스1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3일 "내년도 정부예산은 범부처 협업을 대폭 강화해 개별부처가 아닌 국민의 입장에서 편성하겠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협업예산 추진방안 ▲벤처투자 현황 진단 및 대응 방안 ▲지역 성장지원 서비스 경쟁력 강화방안 ▲어촌·연안 활력 제고방안 등을 논의했다.


정부는 그동안 '비상경제장관회의'로 운영됐던 회의체를 이날부터 '경제관계장관회의'로 전환했다. 다만 위기 상황 대응 필요 시 '비상경제장관회의', 민생정책 추진 현황 점검 시 '민생경제장관회의'를 개최하는 등 논의 주제와 경제 상황에 따라 회의체를 탄력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최 부총리는 "민생문제 해결과 단단한 중산층 구축, 우리 경제의 역동성 제고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경제팀 앞에 놓인 숙제가 여전히 많다"며 "앞으로 경제팀은 국민의 삶 속으로 더 깊게 들어가 민생을 챙기면서 정책의 시작과 끝을 현장과 국민체감에 두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정부는 지역 전용 벤처펀드를 누적 1조원 이상 신규 공급하는 등 비수도권 창업생태계 강화를 위한 '지역 성장지원 서비스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최 부총리는 "지역 투자·보육 전문기업의 펀드 결성을 지원하기 위해 민간 출자자와 자체 출자금 확보 부담을 줄이고 보육 전문기업이 더 많은 벤처기업에 투자할 수 있도록 모태펀드를 활용한 투자금 회수 규모를 확대해 나가겠다"며 "이를 통해 지역 내 창업생태계를 한 단계 성장시키고, 나아가 글로벌 창업 허브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저출생 대응, 청년지원, 첨단·전략산업 인력양성 등 주요 투자과제를 중심으로 부처 간 연계를 강화해 재정운용의 효율성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