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미분양 주택이 8개월 연속 증가하면서 건설업체들의 PF부실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악성 미분양 주택이 8개월 연속 증가하면서 건설업체들의 PF부실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이른바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8개월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체 폐업 건수도 나날이 늘면서 건설업계에서는 연쇄 부도 위기가 도미노처럼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올해 3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3월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4964가구로 지난 2월보다 0.1%(90가구) 늘어 4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 미분양은 5만2987가구로 전체 미분양 주택의 81.5%를 차지했다. 3월 수도권 미분양(1만1977가구)은 전달 대비 0.2%(21가구), 지방은 0.1%(69가구) 각각 증가했다.


문제는 준공 후 미분양의 증가세다. 지난 3월 기준 준공 후 미분양은 1만2194가구로, 한 달 새 2.8%(327가구) 증가했다. 지난해 8월부터 8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

준공 후에도 미분양 물량으로 남은 주택이 꾸준히 늘면서 건설업체들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건설업계의 연쇄 부도 위기감은 날이 갈수록 심화하는 추세다.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지난달 종합건설업 폐업 건수는 104건으로 1년 전과 비교해 25% 증가했다. 올해 들어 부도가 난 건설업체는 모두 9곳에 달한다.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 주택이 급증한 가운데 수도권까지 위협하고 있다. 경기 안성 등을 포함해 9곳이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됐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고금리 장기화에 공사비 급등과 미분양 물량이 증가하는 상황에 현금 흐름도 원활하지 않아 유동성 위기가 불거지고 있다"고 말했다.

준공 후 미분양이 늘수록 PF대출 부실 위험도 더욱 커지기 때문에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앞서 정부가 1·10대책을 통해 올해부터 앞으로 2년간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을 매입하면 종부세 등 산정 때 주택 수에 포함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부동산 업계에서는 양도소득세 면제 등을 통해 주택 거래를 활성화하고 미분양 물량을 관리할 수 있는 수준으로 조절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속해서 제기되고 있다.